맨위로가기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는 1948년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미군의 소개령에 따라 한라산으로 피신한 제주도민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흑백 화면으로 제작되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동백동산 습지에서 촬영되었다. 영화는 120여 명의 주민들이 큰넓궤 동굴에 숨어 지내는 모습과 그들의 고난, 그리고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며, 4·3 사건의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씻김굿과 같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억 5천만 원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음에도 14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독립 영화로서 이례적인 흥행을 기록했으며, 선댄스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포함하여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쓰디쓴 쌀
    1949년 주세페 데 산티스 감독이 연출한 이탈리아 네오레알리스모 영화 "쓰디쓴 쌀"은 북부 이탈리아 쌀 농장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보석 도둑을 둘러싼 욕망, 그리고 비극적 결말을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후보 및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르며 사회적 반향과 영화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1948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블루 데블
    1948년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실직한 흑인 노동자가 실종된 백인 여성을 찾는 의뢰를 받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네오누아르 영화 블루 데블은 덴절 워싱턴, 톰 시즈모어, 제니퍼 빌스, 돈 치들이 출연하고 월터 모슬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촬영한 영화 - 쉬리 (영화)
    《쉬리》는 1999년 개봉한 한국 첩보 액션 영화로, 남북 정보기관 요원들의 첩보전과 액체 폭탄을 둘러싼 갈등을 긴장감 있게 그리며, 혁신적인 CG와 액션, 최고 배우들의 열연으로 한국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촬영한 영화 - 시월애
    2000년 개봉한 이현승 감독의 영화 《시월애》는 시간차를 두고 '일마레'라는 집을 공유하는 두 남녀가 편지를 통해 소통하는 판타지 로맨스 영화로, 한국 멜로 영화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제주 4·3 사건 - 서북청년회
    서북청년회는 1946년 북한 실향민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반공 투쟁을 벌였으나 제주 4·3 사건 개입, 김구 암살 사건 연루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대한청년단으로 흡수 통합되어 해체되었다.
  • 제주 4·3 사건 - 이상근 (군인)
    이상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 1기로 임관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으며, 영화 《증언》에서 배우 김진규가 연대장 역할로 그를 연기했다.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슬 포스터
지슬 포스터
로마자 표기Jiseul
영화 정보
감독오멸
제작고혁진
각본오멸
출연이경준
홍상표
문석범
양정원
음악전송이
촬영양정훈
편집이도현
스튜디오Japari Films
설문대영상
배급사영화사 진진
개봉일부산국제영화제: 2012년 10월 6일
대한민국: 2013년 3월 21일
상영 시간108분
제작 국가대한민국
언어제주어
제작비$190,000
관련 정보
웹사이트페이스북 페이지

2. 배경

영화의 배경은 1948년 제주 4·3 사건이다. 이 사건은 일제강점기에 저항하는 한국인의 투쟁을 기념하는 시위에 대해 경찰이 발포한 사건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이는 미군정이 지원하는 대한민국 군사 정부에 대한 무장 반란으로 번졌고, 1954년 9월까지 이어진 대규모 학살로 이어졌다.[17][18] 이 사건으로 제주도 마을의 3분의 2 이상이 파괴되고 약 3만 명의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1990년대 후반까지 이에 대한 언급은 금기시되었다.[17][18]

1948년 11월,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군은 제주도 해안선에서 5km 밖의 모든 주민을 공산주의 반란군으로 규정하고 즉결 처형할 수 있다는 명령을 내렸다. '해안선 5km 밖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흉흉한 소문이 퍼지자, 제주섬 사람들은 영문도 모른 채 삼삼오오 모여 산 속으로 피난길에 올랐다.

영화의 주요 배경 중 하나는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 위치한 도너리오름과 그곳의 '큰넓궤' 동굴이다. '궤'는 제주 사투리로 천연동굴을 의미한다. 당시 동광리 주민 120여 명은 토벌대를 피해 이곳으로 숨어들었다. 큰넓궤 동굴 입구는 한 사람이 겨우 들어갈 정도로 좁지만, 안쪽은 길이가 180m에 이르는 넓은 공간이었다.[24] 주민들은 약 50일[24] (혹은 60일[13][14][15][16]) 동안 이곳에 숨어 지냈다. 곧 돌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따뜻한 감자를 나눠 먹고, 집에 두고 온 가축 걱정이나 결혼 등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며 웃음을 잃지 않으려 애썼다. 하지만 심한 추위와 배고픔에 시달렸고, 두려움 속에서 인내심의 한계를 느끼기도 했다.[13][14][15][16]

그러나 토벌대의 집요한 추적으로 피난처는 발각되었다. 토벌대가 동굴 안으로 진입하려 하자, 주민들은 이불 솜에 고춧가루를 뿌려 불을 붙인 뒤 부채질하여 매운 연기를 동굴 밖으로 내보내며 저항했다고 전해진다.[24]

3. 줄거리

1948년 11월,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군제주도 해안선에서 5km 밖에 있는 모든 주민을 공산주의 세력으로 간주하고 즉결 처형할 수 있다는 명령을 내린다.[13][14][15][16] 제주섬 사람들은 ‘해안선 5km 밖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소문을 듣고 피난길에 오른다. 글을 거의 모르는 작은 마을 주민들은 명령의 심각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영문도 모르고 산 속으로 피신한다. 곧 돌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따뜻한 감자를 나눠 먹고, 집에 두고 온 돼지 걱정이나 장가갈 걱정 같은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며 애써 웃음을 잃지 않는다.

동광리 주민 120여 명은 처음에는 도너리오름 숲으로 피신했으나, 토벌대의 추적을 피해 ‘큰넓궤’라는 동굴로 숨어든다. ‘궤’는 제주 사투리로 천연동굴을 의미하는데, 큰넓궤는 입구가 한 사람이 겨우 들어갈 정도로 좁지만 안쪽은 길이가 180m에 달하는 넓은 공간이었다. 주민들은 약 50일[24] 또는 60일[13][14][15][16] 동안 이곳에 숨어 지내며 혹독한 추위와 배고픔에 시달리면서도 농담을 주고받으며 버텼다.

하지만 토벌대의 집요한 추적으로 결국 동굴은 발각될 위기에 처한다. 토벌대가 동굴 안으로 진입하려 하자, 주민들은 이불솜에 고춧가루를 뿌려 불을 붙인 뒤 부채질을 하여 매운 연기를 동굴 밖으로 내보내 저항했다고 전해진다.[24] 한편, 토벌 작전에 동원된 군인 중에는 어린 신병들도 많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자신들이 쫓는 사람들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동굴 속 주민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남겨두고 온 가족과 가축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극한 상황 속에서 점차 인내심을 잃어간다.[13][14][15][16]

4. 등장인물 (캐스팅)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의 등장인물 및 배역 정보는 아래 문단을 참고한다.

4. 1. 주요 인물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의 주요 등장인물과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우배역
이경준경준
홍상표상표
문석범원식이 삼촌
오영순무동 어머니
김동호순덕아방
김순덕순덕어멍
손욱병호
양정원용필
박순동무동
성민철만철
최은미무동의 아내
조은춘자
강희순덕
손유경춘섭
조이준무동딸 생이
장경섭김 상사
이경식고 중사
주정애주정길
백종환백 상병
어성욱상덕
김형진동수


4. 1. 1. 이경준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에서 경준 역을 맡았다.

4. 1. 2. 홍상표

홍상표는 이 영화에서 상표 역을 맡았다.

4. 1. 3. 문석범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에서 원식이 삼촌 역을 맡았다.

4. 1. 4. 오영순

오영순은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에서 무동 어머니 역을 맡았다.

4. 1. 5. 박순동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에서 무동 역을 맡았다.

4. 2. 기타 인물

배우배역
이경준경준 역
홍상표상표 역
문석범원식이 삼촌 역
오영순무동 어머니 역
김동호순덕아방 역
김순덕순덕어멍 역
손욱병호 역
양정원용필 역
박순동무동 역
성민철만철 역
최은미무동의 아내 역
조은춘자 역
강희순덕 역
손유경춘섭 역
조이준무동딸 생이 역
장경섭김 상사 역
이경식고 중사 역
주정애주정길 역
백종환백 상병 역
어성욱상덕 역
김형진동수 역


5. 촬영지

대부분의 장면은 동백동산 습지에서 촬영되었으며, 이곳은 람사르 습지이다.

6. 평가 및 흥행

영화 《지슬》은 1948년 4월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이 사건은 일본 통치 저항 기념 시위에 대한 경찰 발포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으며, 미국이 지원하는 대한민국 군사 정부에 대한 무장 반란으로 이어져 1954년 9월까지 계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섬 마을의 3분의 2 이상이 파괴되고 3만 명(대부분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된 학살이 자행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까지 이에 대한 언급은 금기시되었다.[17][18]

'지슬'은 이러한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다루면서도, 흑백 영화임에도 빼어난 영상미와 해학미를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화는 주민들과 토벌군 간의 이분법적인 대결 구도보다는 당시를 살아내던 사람들의 모습 하나하나를 보여주며 인간애를 다루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슬'은 4·3 사건 속 원혼들을 달래는 씻김굿 같은 영화로 불린다.[25] 단순히 비극의 역사를 들춰내 분노를 일으키기보다, 묵묵히 펼쳐지는 아프지만 아름다운 화면을 통해 당시 사건의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 그리고 관객까지 위로한다는 평가다.[28]

제작비 2.5억이 투입된 저예산 영화로, 제주도 출신 감독이 제주 사람들과 함께 제주에서 찍은 지역 영화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25] 2013년 1월 미국에서 열린 제29회 선댄스영화제에서는 한국 영화 최초로 최고상인 심사위원대상(Grand Jury Prizeeng)을 수상했다. 심사위원들은 만장일치로 대상을 결정했으며, "깊이 있는 서사와 더불어 시적인 이미지까지 '지슬'은 우리 모두를 강렬하게 사로잡을 만큼 매혹적이었다"고 평했다.[26] 박찬욱 감독은 '지슬'을 보고 "단순히 4.3을 다뤘다는 사실만으로 평가해줘야 하는 영화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예술 작품으로 충분히 독창적이고 훌륭하다. 굉장히 웃기면서도 아름답고 그런데 웃길수록 슬프고, 아름다울수록 슬픈 영화다"라고 호평했다.[27]

선댄스 영화제 수상 이후 입소문을 타면서 '지슬'은 한국의 저예산 독립 영화로서는 이례적인 흥행을 기록했다.[19][20][21] 제작비가 상업 영화의 수십 분의 1에 불과하고 상영관도 50~60개에 머무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25] 144,602명의 관객을 동원했다.[22] 이는 2009년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 (122,918명)의 기록을 넘어, 당시까지 가장 많은 관객을 모은 독립 드라마 영화 기록이었다.[22] '지슬'보다 더 많은 관객을 동원한 독립 영화는 2009년 개봉하여 약 300만 명의 관객을 모은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 정도였다.[23]

'지슬'의 흥행은 입소문의 힘을 보여주었으며[28], 개봉 2주차에 상영관이 50개까지 줄었으나 관객의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다시 10개가 늘어나기도 했다.[28] 이는 독립 영화의 흥행에 극장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28]

다만, 제주 지역에서는 당초 목표했던 3만 관객을 달성하지 못하고 상영이 종료되었다. 제작진은 4·3 사건 희생자 3만여 명을 위로하고 제주 독립 영화의 경쟁력을 보여주기 위해 3만 관객 돌파를 목표로 했었다. 이후 제주시 영화예술문화센터에서의 재상영을 통해 3만 관객 돌파를 시도할 계획을 세웠다.[29]

7. 수상

미국 선댄스 영화제에서 1월 말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으며, 이어 2월에는 프랑스 브졸 국제아시아영화제에서 황금수레바퀴상을 받았다. 이후 튀르키예의 최대 영화 축제인 이스탄불 영화제의 인권영화 경쟁부문에 초청되었다. 이 부문은 인권의 가치가 돋보이는 작품들을 초청하는 특별 경쟁 부문으로, 총 10편의 초청작 중 '지슬'은 심사위원 특별언급상을 수상했다. 이는 해외 영화제에서 받은 세 번째 상이다.[30]

참조

[1] 웹사이트 Requiem for Jeju's forgotten masscre https://koreatimes.c[...] 2013-03-18
[2] 웹사이트 The Hottest Potato of Them All http://koreanfilm.or[...] 2013-02-26
[3] 웹사이트 Jeju Native's Film Wins Jury Prize at Sundance http://english.chosu[...] 2013-01-28
[4] 웹사이트 O Muel's Jiseul wins the NETPAC award at the 17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netpacasi[...] 2012-10-15
[5] 웹사이트 BIFF 2012: Awards Announced, JISEUL Picks Up 3 https://web.archive.[...] 2012-10-12
[6] 웹사이트 Jiseul http://www.screendai[...] 2012-12-20
[7] 웹사이트 JISEUL Picks up Grand Prize at Sundance Film Festival http://www.koreanfil[...] 2013-01-28
[8] 웹사이트 Vesoul 2013 : Jiseul d'O Muel et With you, without you de Prasanna Vithanage se partagent le Cyclo d'or http://ecrannoir.fr/[...] 2013-02-13
[9] 웹사이트 JISEUL Picks up Cyclo d'Or in Vesoul http://www.koreanfil[...] 2013-02-13
[10] 웹사이트 Wildflower Film Awards http://www.koreanfil[...] 2014-02-10
[11] 웹사이트 ''Jiseul'' Plucks First Wildflower Korea Award https://variety.com/[...] 2014-04-01
[12] 웹사이트 A New Kind of Film, from Jeju Island https://web.archive.[...] 2013-02-04
[13] 웹사이트 Jiseul http://www.filmbiz.a[...] 2012-12-17
[14] 웹사이트 Jiseul https://www.variety.[...] 2013-01-22
[15] 웹사이트 Jiseul: Sundance Review https://www.hollywoo[...] 2013-01-28
[16] 웹사이트 Jiseul http://koreanfilm.or[...]
[17] 웹사이트 Jiseul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Jiseul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Arthouse film ''Jiseul'' trailblazing at box office http://www.koreahera[...] 2013-03-28
[20] 웹사이트 ''Jiseul'' hits 100,000 audience mark https://koreatimes.c[...] 2013-04-14
[21] 웹사이트 Triumph of ''Jiseul'' continues http://www.koreahera[...] 2013-04-17
[22] 웹사이트 JISEUL Becomes Most Viewed Independent Film http://www.koreanfil[...] 2013-04-24
[23] 웹사이트 Box Office: April 4-17, 2013 http://www.koreanfil[...] 2013-04-18
[24] 뉴스 http://www.jejunews.[...]
[25] 웹인용 http://www.nocutnews[...]
[26] 웹인용 https://news.naver.c[...]
[27] 웹인용 http://starin.edaily[...]
[28] 웹인용 http://news.mk.co.kr[...]
[29] 웹인용 http://www.jejusori.[...]
[30] 웹인용 http://news.kuki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